스마트공장이란 ICT 기반의 지능화, 이종 프로토콜간 통신에 대한 논리적 연결, 센서/장비/설비 등의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자동화, 기기간 협업 등을 통해 최적의 제품 생산 공정을 갖는 공장을 의미한다.

스마트공장 보안모델 활용 방안

가상 KISmart Factory로 명칭을 부여하고, 스마트 공장 환경을 임의적으로 제시하여 보안모델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KISmart Factory 현황

진공채혈관을 개발, 생산하는 업체로 생산 제조라인의 원자재, 제품, 장비, 공정상태의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모니터링하고, 생산계획 대비 생산 실적의 실시간 관리를 하고 있는 스마트공장이다. 생산 공정에 채혈관 제조 자동화 기술을 적용하였으며, 진공채혈관을 구매하는 협력업체들이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한 생산실적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제품 생산을 위한 장치, 제어시스템, 생산관리시스템, 경영정보시스템을 포함한 스마트공장 자산형환을 자산목록으로 구성하여 관리하고 있다.

Untitled


보안아키텍처 활용 절차

Step1 보안 대상 선별 > Step2 보안위협 도출 > Step3 보안요구사항 매핑 > Step4 보안아키텍처 적용

Step1 보안 대상 선별

Untitled

Step2 보안위협 도출

보안 대상으로부터 발생 가능한 보안위협을 도출한다.

Untitled

Untitled

Untitled

Step3 보안요구사항 매핑

  1. 센서